올블로그가 없어졌다. 2004년부터 서비스된 메타블로그다. 이 블로그가 외부에 글을 보내는 유일한 통로였기도 해서, 오래 된 친구를 잃어버린 것처럼 아쉽다.
없어지는 것이 아쉬우면, 그 흔적을 찾고 싶어하게 된다.
'통합'된 3월5일 이후, 올블로그 주소를 치면 기존의 화면 대신 '서비스 통합 안내' 공지가 열린다. 아래와 같은 모습이다.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올블로그와 '통합'된다는 위드블로그 사이트로 가는 버튼과 이메일 문의 버튼이다.

계속 '통합'에 작은 따옴표를 치는 것은 이유가 있다. 보통 통합이라는 말은 무언가를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과 합친다는 뜻으로 쓴다. 서비스를 통합한다면, 기존 서비스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서비스와 합쳐져서 어떤 형식으로든 그 모습이 남게 된다는 뜻으로 쓰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올블로그의 '통합'은 전혀 통합이 아니다. 기존 올블로그는 완벽히 사라지고 기왕에 있던 리뷰 전문 서비스인 위드블로그로 링크만 이어진다. 혹시 몰라서 위드블로그 내용을 살펴 보았지만, 올블로그가 가졌던 광범위한 주제의 메타블로그 성격은 전혀 없다. 과거의 위드블로그에서 내용이 눈에 띄게 바뀐 부분도 없다. (내가 잘못 알고 있다면 지적해 주시면 고맙겠다.)
이것은 통합이 아니라, 올블로그 서비스를 '종료'한 것이다.
그런데도 계속 통합이라는 말을 써 왔고, 사이트가 없어지는 공지에서도 '위드블로그와 통합된다',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하기로 결정했다'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사실 얼마 전부터 '통합' 고지가 계속 나왔는데, 아무리 보아도 올블로그의 성격이나 내용을 유지하고 연결한다는 언급은 찾기 어려워서 의아해 하고 있던 참이었다. 그래도 자꾸 '통합'이라고 말하길래, 실제로 '통합'이 이루어지면 위드블로그의 내용이 좀 바뀌면서 올블로그 양식이 첨가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전혀 아니다. 올블로그는 완전히 없어지고, 성격이 전혀 다른 서비스로 대치됐다.
그래서 생각을 하여 보았더니, '통합'이란 말을 쓴 것은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의 입장에서 상황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올블로그와 위드블로그를 동시에 운영하는 회사(블로그칵테일) 쪽에서 볼 때는, 이게 '통합'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을 듯하다. 말하자면 두 부서를 하나로 합치는 모양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위드블로그에 올려 둔 공지에서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말하자면, 올블로그와 위드블로그 두 개를 운영하다가, 위드블로그만 '선택'하여 그에 '집중'하기로 했다는 뜻이다. 올블로그는 선택에서 제외되었다는 말이기도 하다. 즉 폐지다. 따라서, "이에 따라..."로 시작하는 문장이 "통합하여 운영하기로..." 한 것은 앞부분의 "선택과 집중"을 고려할 때 어색하게 느껴진다. 통합이라면 선택과 집중의 의미가 흐려지기 때문이다. 제대로라면 "이에 따라... 올블로그를 종료하고 위드블로그를 중심으로 운영하기로..." 했어야 한다. 회사의 입장이 아니라 이용자 입장을 고려하여 공지를 함으로써 혼동을 피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나는 지금 올블로그 종료가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게 아니다. 서비스의 운영 여부는 당연히 회사가 결정할 사항이다. 또 오랫동안 운영해 온 기간 서비스나 마찬가지였던 사이트를 폐지하거나 종료한다고 표현하는 게 내키지 않았을 수도 있었으리라는 점도 이해가 된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이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는 이용자의 처지에서 생각하여 표현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용자는 해당 특정 서비스가 좋아서 사용하는 사람들일 뿐이지, 그것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서비스 운영에 중요한 결정을 함으로써 회사 내부적으로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는 이용자에게 중요한 일이 아니다. 사이트 폐지와 같은 중대한 결정을 운영자의 처지에서 표현한다면 이용자에게는 혼란만 준다.
그나저나 여하튼 한국 인터넷, 혹은 한국 블로그 역사에서 또 한 페이지가 넘어가는 느낌이다. 그래서, 이 잔소리는 '통합'이 아니라 종료되는 올블로그를 기리는 헌사이기도 하다.
없어지는 것이 아쉬우면, 그 흔적을 찾고 싶어하게 된다.
'통합'된 3월5일 이후, 올블로그 주소를 치면 기존의 화면 대신 '서비스 통합 안내' 공지가 열린다. 아래와 같은 모습이다.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올블로그와 '통합'된다는 위드블로그 사이트로 가는 버튼과 이메일 문의 버튼이다.

계속 '통합'에 작은 따옴표를 치는 것은 이유가 있다. 보통 통합이라는 말은 무언가를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과 합친다는 뜻으로 쓴다. 서비스를 통합한다면, 기존 서비스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서비스와 합쳐져서 어떤 형식으로든 그 모습이 남게 된다는 뜻으로 쓰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올블로그의 '통합'은 전혀 통합이 아니다. 기존 올블로그는 완벽히 사라지고 기왕에 있던 리뷰 전문 서비스인 위드블로그로 링크만 이어진다. 혹시 몰라서 위드블로그 내용을 살펴 보았지만, 올블로그가 가졌던 광범위한 주제의 메타블로그 성격은 전혀 없다. 과거의 위드블로그에서 내용이 눈에 띄게 바뀐 부분도 없다. (내가 잘못 알고 있다면 지적해 주시면 고맙겠다.)
이것은 통합이 아니라, 올블로그 서비스를 '종료'한 것이다.
그런데도 계속 통합이라는 말을 써 왔고, 사이트가 없어지는 공지에서도 '위드블로그와 통합된다',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하기로 결정했다'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사실 얼마 전부터 '통합' 고지가 계속 나왔는데, 아무리 보아도 올블로그의 성격이나 내용을 유지하고 연결한다는 언급은 찾기 어려워서 의아해 하고 있던 참이었다. 그래도 자꾸 '통합'이라고 말하길래, 실제로 '통합'이 이루어지면 위드블로그의 내용이 좀 바뀌면서 올블로그 양식이 첨가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전혀 아니다. 올블로그는 완전히 없어지고, 성격이 전혀 다른 서비스로 대치됐다.
그래서 생각을 하여 보았더니, '통합'이란 말을 쓴 것은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의 입장에서 상황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올블로그와 위드블로그를 동시에 운영하는 회사(블로그칵테일) 쪽에서 볼 때는, 이게 '통합'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을 듯하다. 말하자면 두 부서를 하나로 합치는 모양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위드블로그에 올려 둔 공지에서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다름이 아니라 위드블로그를 운영하는 저희 (주)블로그칵테일은 2012년 새해 선택과 집중으로 위드블로그 서비스에 집중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저희가 운영해오던 국내 최대 메타블로그 서비스 올블로그(Allblog.net)와 위드블로그를 통합하여 운영하기로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말하자면, 올블로그와 위드블로그 두 개를 운영하다가, 위드블로그만 '선택'하여 그에 '집중'하기로 했다는 뜻이다. 올블로그는 선택에서 제외되었다는 말이기도 하다. 즉 폐지다. 따라서, "이에 따라..."로 시작하는 문장이 "통합하여 운영하기로..." 한 것은 앞부분의 "선택과 집중"을 고려할 때 어색하게 느껴진다. 통합이라면 선택과 집중의 의미가 흐려지기 때문이다. 제대로라면 "이에 따라... 올블로그를 종료하고 위드블로그를 중심으로 운영하기로..." 했어야 한다. 회사의 입장이 아니라 이용자 입장을 고려하여 공지를 함으로써 혼동을 피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나는 지금 올블로그 종료가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게 아니다. 서비스의 운영 여부는 당연히 회사가 결정할 사항이다. 또 오랫동안 운영해 온 기간 서비스나 마찬가지였던 사이트를 폐지하거나 종료한다고 표현하는 게 내키지 않았을 수도 있었으리라는 점도 이해가 된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이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는 이용자의 처지에서 생각하여 표현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용자는 해당 특정 서비스가 좋아서 사용하는 사람들일 뿐이지, 그것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서비스 운영에 중요한 결정을 함으로써 회사 내부적으로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는 이용자에게 중요한 일이 아니다. 사이트 폐지와 같은 중대한 결정을 운영자의 처지에서 표현한다면 이용자에게는 혼란만 준다.
그나저나 여하튼 한국 인터넷, 혹은 한국 블로그 역사에서 또 한 페이지가 넘어가는 느낌이다. 그래서, 이 잔소리는 '통합'이 아니라 종료되는 올블로그를 기리는 헌사이기도 하다.
덧글
민노씨 2012/03/07 08:33 # 삭제 답글
그럼에도 아쉽고, 야속한(?) 마음이 한켠엔 남네요.
블로그 쇄락이 일시적인 것이길 바라는 마음인데, 그래서 다시 모두에게 열려 있는 들판 같은 것으로서 자리하길 바라는 마음인데, 블로그는 이미 자기의 생애를 다해가고 있는건가... 그런 씁쓸한 생각도 듭니다...
추.
오늘 새벽에 문득 들렀는데, 이글루스 서비스 점검이라고 해서 어찌나 아쉽던지...;;;
deulpul 2012/03/07 11:17 #
deulpul 2012/03/07 15:01 #
dhunter 2012/03/07 12:42 # 삭제 답글
deulpul 2012/03/07 14:17 #
민노씨 2012/03/07 17:32 # 삭제 답글
저로선 진중권의 글은 정황에 근거한 논리적 가설을 잘 조직했음에도 불구하고, 말미로 가면, '관심법'(신앙)으로 추락하고 있다고 판단해요. 제 입장에 대해 혹자들께선, '있을 수 있는 '표현'(수사)의 과장 를 꼬투리 잡아 물고 늘어지냐?'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기도 하지만요.
더불어 "메일"로 문의드리고 싶은 사안이 있습니다. ^ ^
시간이 허락하시면 꼭 한번 읽어주시고, 간단하게나마 의사를 전해주시길 바라봅니다.
메일을 보낸 뒤에 다시 이 댓글창에서 메일을 보냈다 알려드리겠습니다.
deulpul 2012/03/08 14:29 #
민노씨 2012/03/08 01:34 # 삭제 답글
시간이 허락하시면 찬찬히 훑어보시고, 조언주시길 바라봅니다...
춘부장 2012/05/05 02:54 # 삭제 답글
all-blog 란 명칭에서 처럼 '블로그의 모든 것'으로 자리매김하던 '최고의 메타사이트가 왜 갑자기 마케팅성 사이트가 된건지. 참 갑갑합니다.
만약 돈이 급했다면 - 블로거들에게 '주식공모' 식으로 try 해볼 수도 있었을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운영이 힘든 것은 알겠지만....
제 생각에는 '마케팅 포션'을 높이면서 기업의 생존을 도모할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너무 안타깝습니다.
deulpul 2012/05/07 07: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