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채용에 ´스펙란´ 없앤 공공기관…어딜까?
좋은 소식, 좋은 기사에 낚시질 제목을 붙인 추태는 그냥 넘어가자.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신입사원을 뽑는데, 그 지원서에 어학 성적, 학력 따위 '스펙'을 쓰는 부분을 없애고 직무 수행 능력에 초점을 맞추도록 했다는 소식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1월 말에, 학력이나 영어 점수 같은 '스펙란'을 없애고 직무 관련 경험에 초점을 맞춘 지원서를 보급할 예정이라고 밝힌 적이 있는데, 그 첫 적용 사례라고 한다.
반가운 변화다. 진작에 그랬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에 미친듯이 불고 있는 영어 바람의 핵심 원인 중 하나가 신입 사원 채용 때 무조건 영어(성적)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나는, 이런 채용 제도의 변화가 더 나아가 사회적 변화로까지 연결되기를 바란다.
첫 번째 기사에 보면 이번 산업인력공단 채용에는 또 한 가지 반가운 변화가 있다.
운동선수나 경호원을 뽑는 것도 아니면서 업무와 상관 없는 키나 몸무게까지 적어내라는 것은 비상식 이전에 인권 침해에 가깝다. 그래도 고용자, 이른바 갑이 내라고 하니 을인 지원자는 울며 겨자먹기로 적어 내야 할 것이다. 나도 예전에 이런 서류를 내고 회사를 들어갔지만, 이런 항목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이 놀랍다.
이력서에 본적이 빠지는 등 내용이 조금 바뀌긴 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인터넷에서 찾아본 홍길동의 이력서들(본보기) 중 가장 앞에 뜬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들이 한국형 이력서의 특이 사항들이다. 모두 사진을 붙이도록 되어 있으며, 외국어 성적을 쓰는 난도 공통으로 들어 있다. 첫 번째에는 해외 연수 사항을 쓰는 난이 아예 따로 마련되어 있고, 두 번째에는 구체적인 가족 사항에 키, 몸무게, 시력, 종교까지 쓰도록 되어 있다. 세 번째 이력서에도 신체 특성과 종교를 적도록 되어 있다.
마침 어제 msn.com에는 취업과 경력 관리 전문가가 쓴 '(미국에서) 직장에 지원할 때 내야 하는 이력서에 절대 써서는 안 되는 것 5가지'라는 조언 기사가 실렸다. 그 중 4번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이게 합리적인 사회의 채용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특이한 점은, 이 조언에서는 지원자가 그런 개인 특성을 이력서에 쓸까봐 걱정하며 도움말을 주는 데 비해, 한국의 경우 고용자가 그런 특성을 밝힐 것을 요구하거나, 아니면 밝히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글로벌 스탠더드와는 이렇게 거리가 있다. 정치 구호 차원이 아니라 실생활에 적용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가 주변에 널려 있는 셈이다.
※ 이미지: 첫 번째는 원출처를 알 수 없어 링크 생략. 두 번째, 세 번째.
[덧붙임] 3월11일 11:45 pm
미국에서 고용주가 직원을 채용할 때 차별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요구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은 연방 기관인 평등고용기회위원회(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EEOC)가 주관하는 법률로 정해져 있다. 이 위원회의 홈페이지에 설명된 법률 내용은 그야말로 금과옥조들이다.
EEOC가 강제하는 법률에 따르면, 취업 지원자나 직원을 그 사람의 인종, 피부색, 종교, 성(임신 포함), 출신국, 나이, 장애, 유전 정보 등에 의해 차별하는 일은 불법이다. 이런 규정은 사람을 채용할 때 내는 광고에서부터 시작해 직원으로 채용한 뒤의 회사 생활에 이르기까지 고용의 전과정에 걸쳐 강력하게 강제된다. 인종, 피부색, 종교... 등의 차별 요소는 이렇게 다양한 고용 상황을 거론할 때마다 계속 반복해 제시되는데, 이런 요소에 근거한 차별이 어떤 경우라도 허용되지 않음을 분명히 밝힌 것이라고 하겠다.
이 규정 중에서, 위에서 논의한 입사 지원과 관련한 부분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밑줄은 내가):
이 정도만으로도 우리가 이력서를 쓰면서 당연한 듯 적어 내는 내용이 얼마나 불합리한 것인가를 잘 알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채용 공고와 관련한 아래의 고용 평등 규정은, '19OO년 이후 출생자' '20OO년 이후 대학 졸업자' 따위로 지원자의 제한을 두는 일을 당연하게 여기는 우리 채용 문화와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지 잘 보여준다.
좋은 소식, 좋은 기사에 낚시질 제목을 붙인 추태는 그냥 넘어가자.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신입사원을 뽑는데, 그 지원서에 어학 성적, 학력 따위 '스펙'을 쓰는 부분을 없애고 직무 수행 능력에 초점을 맞추도록 했다는 소식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1월 말에, 학력이나 영어 점수 같은 '스펙란'을 없애고 직무 관련 경험에 초점을 맞춘 지원서를 보급할 예정이라고 밝힌 적이 있는데, 그 첫 적용 사례라고 한다.
반가운 변화다. 진작에 그랬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에 미친듯이 불고 있는 영어 바람의 핵심 원인 중 하나가 신입 사원 채용 때 무조건 영어(성적)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나는, 이런 채용 제도의 변화가 더 나아가 사회적 변화로까지 연결되기를 바란다.
첫 번째 기사에 보면 이번 산업인력공단 채용에는 또 한 가지 반가운 변화가 있다.
지원서에는 입사 지원을 위해 늘상 적어내야 했던 가족사항·키·몸무게 등 업무와 관련없는 항목들이 삭제됐다.
운동선수나 경호원을 뽑는 것도 아니면서 업무와 상관 없는 키나 몸무게까지 적어내라는 것은 비상식 이전에 인권 침해에 가깝다. 그래도 고용자, 이른바 갑이 내라고 하니 을인 지원자는 울며 겨자먹기로 적어 내야 할 것이다. 나도 예전에 이런 서류를 내고 회사를 들어갔지만, 이런 항목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이 놀랍다.
이력서에 본적이 빠지는 등 내용이 조금 바뀌긴 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인터넷에서 찾아본 홍길동의 이력서들(본보기) 중 가장 앞에 뜬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들이 한국형 이력서의 특이 사항들이다. 모두 사진을 붙이도록 되어 있으며, 외국어 성적을 쓰는 난도 공통으로 들어 있다. 첫 번째에는 해외 연수 사항을 쓰는 난이 아예 따로 마련되어 있고, 두 번째에는 구체적인 가족 사항에 키, 몸무게, 시력, 종교까지 쓰도록 되어 있다. 세 번째 이력서에도 신체 특성과 종교를 적도록 되어 있다.
마침 어제 msn.com에는 취업과 경력 관리 전문가가 쓴 '(미국에서) 직장에 지원할 때 내야 하는 이력서에 절대 써서는 안 되는 것 5가지'라는 조언 기사가 실렸다. 그 중 4번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4. 개인적 사항: 모델직처럼 외모가 중요한 일자리가 아닌 한, 이력서에 사진을 첨부하지 말라. 거의 모든 고용자는 당신의 외모에 상관하지 않을 것이며, 법에 따르면 그래서도 안 된다. 그들은 단지 당신이 왜 그 자리에 적합한가만을 알고 싶어 할 것이다. 키, 몸무게, 인종, 나이 같은 개인적 사항들도 마찬가지다.
이게 합리적인 사회의 채용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특이한 점은, 이 조언에서는 지원자가 그런 개인 특성을 이력서에 쓸까봐 걱정하며 도움말을 주는 데 비해, 한국의 경우 고용자가 그런 특성을 밝힐 것을 요구하거나, 아니면 밝히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글로벌 스탠더드와는 이렇게 거리가 있다. 정치 구호 차원이 아니라 실생활에 적용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가 주변에 널려 있는 셈이다.
※ 이미지: 첫 번째는 원출처를 알 수 없어 링크 생략. 두 번째, 세 번째.
[덧붙임] 3월11일 11:45 pm
미국에서 고용주가 직원을 채용할 때 차별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요구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은 연방 기관인 평등고용기회위원회(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EEOC)가 주관하는 법률로 정해져 있다. 이 위원회의 홈페이지에 설명된 법률 내용은 그야말로 금과옥조들이다.
EEOC가 강제하는 법률에 따르면, 취업 지원자나 직원을 그 사람의 인종, 피부색, 종교, 성(임신 포함), 출신국, 나이, 장애, 유전 정보 등에 의해 차별하는 일은 불법이다. 이런 규정은 사람을 채용할 때 내는 광고에서부터 시작해 직원으로 채용한 뒤의 회사 생활에 이르기까지 고용의 전과정에 걸쳐 강력하게 강제된다. 인종, 피부색, 종교... 등의 차별 요소는 이렇게 다양한 고용 상황을 거론할 때마다 계속 반복해 제시되는데, 이런 요소에 근거한 차별이 어떤 경우라도 허용되지 않음을 분명히 밝힌 것이라고 하겠다.
이 규정 중에서, 위에서 논의한 입사 지원과 관련한 부분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밑줄은 내가):
고용 이전의 조사(일반)
일반 규정으로서, 고용 이전(지원) 과정에서 요구되거나 얻어지는 정보는 그 지원자가 해당 직무에 적합한가를 결정하는 데 꼭 필요한 것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인종, 성, 출신국, 나이, 종교와 관련한 정보는 이러한 결정 요소로 볼 수 없다.
고용자가 지원 과정에서 장애와 관련한 조사를 하는 일은 특히 금지된다. 인종, 피부색, 성, 출신국, 종교, 나이와 관련한 조사를 하거나 이런 기준으로 지원자를 걸러내는 것은, 평등 고용과 관련한 연방법 및 주법이 이를 명시적으로 분명하게 금하고 있지는 않지만, 업무 목적에 의거해 이를 정당화할 수 없을 경우 고용자가 지원자를 차별하려는 목적을 가졌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원자의 인종, 성, 출신국, 장애 상태, 나이, 종교, 피부색, 조상 등을 알아낼 수 있는 단체, 클럽, 조직 등의 가입 여부를 묻는 일은 피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고용자는 지원자의 사진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본인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채용이 결정되고 지원자가 이를 받아들인 뒤에야 사진을 요구할 수 있다.
일반 규정으로서, 고용 이전(지원) 과정에서 요구되거나 얻어지는 정보는 그 지원자가 해당 직무에 적합한가를 결정하는 데 꼭 필요한 것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인종, 성, 출신국, 나이, 종교와 관련한 정보는 이러한 결정 요소로 볼 수 없다.
고용자가 지원 과정에서 장애와 관련한 조사를 하는 일은 특히 금지된다. 인종, 피부색, 성, 출신국, 종교, 나이와 관련한 조사를 하거나 이런 기준으로 지원자를 걸러내는 것은, 평등 고용과 관련한 연방법 및 주법이 이를 명시적으로 분명하게 금하고 있지는 않지만, 업무 목적에 의거해 이를 정당화할 수 없을 경우 고용자가 지원자를 차별하려는 목적을 가졌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원자의 인종, 성, 출신국, 장애 상태, 나이, 종교, 피부색, 조상 등을 알아낼 수 있는 단체, 클럽, 조직 등의 가입 여부를 묻는 일은 피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고용자는 지원자의 사진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본인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채용이 결정되고 지원자가 이를 받아들인 뒤에야 사진을 요구할 수 있다.
이 정도만으로도 우리가 이력서를 쓰면서 당연한 듯 적어 내는 내용이 얼마나 불합리한 것인가를 잘 알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채용 공고와 관련한 아래의 고용 평등 규정은, '19OO년 이후 출생자' '20OO년 이후 대학 졸업자' 따위로 지원자의 제한을 두는 일을 당연하게 여기는 우리 채용 문화와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지 잘 보여준다.
구인 광고
고용주가 인종, 피부색, 종교, 성(임신 포함), 출신국, 나이, 장애, 유전 정보 등에 의거해 특정한 사람들을 선호하거나 원하지 않는다는 점을 드러낸 구인 광고는 불법이다. 예컨대 '여성'이나 '최근 대학 졸업자'를 뽑는다는 광고는 남성이나 고령자를 지원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기 때문에 위법이 된다.
고용주가 인종, 피부색, 종교, 성(임신 포함), 출신국, 나이, 장애, 유전 정보 등에 의거해 특정한 사람들을 선호하거나 원하지 않는다는 점을 드러낸 구인 광고는 불법이다. 예컨대 '여성'이나 '최근 대학 졸업자'를 뽑는다는 광고는 남성이나 고령자를 지원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기 때문에 위법이 된다.
덧글
.. 2013/03/11 11:22 # 삭제 답글
deulpul 2013/03/11 14:47 #
티니 2013/03/11 15:51 # 답글
deulpul 2013/03/11 21:52 #
dhunter 2013/03/11 16:50 # 삭제 답글
호적 (... 사실 요즘 행정기관의 공식 명칭은 가족관계 등록지던가) 도 아니고 대놓고 출신도를 물어보는 경북소재 중소기업을 본 뒤로 저는 정치적 포지셔닝을 스스로 다시 할 수 밖에 없더군요. 이게 2010년의 일입니다...
deulpul 2013/03/11 21:58 #
타츠야 2013/03/11 17:26 # 삭제 답글
deulpul 2013/03/11 22:04 #
Silverwood 2013/03/11 21:48 # 답글
deulpul 2013/03/11 22:13 #
남자 2013/03/11 22:55 # 삭제 답글
deulpul 2013/03/12 00:03 #
이름... 2013/03/13 04:16 # 삭제 답글
deulpul 2013/03/14 0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