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온도 경보(wind chill warning)'가 내려졌다. 일요일 저녁 6시부터 화요일 낮까지다. 이 기간 동안 기온은 -32℃ (-25℉)까지, 체감온도는 -45℃ (-50℉) 밑으로 내려간다는 경고다. 최저기온 기록을 깰 기세다. 아래는 월요일 하루의 예보.


전국기상청이 내린 경보는 이렇게 말한다.
체감온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기온과 바람(풍속), 지표면에 쬐는 일사량이다. 미국 기상청은 저온과 강풍 등으로 체감온도가 떨어져서 위험한 수준이 되면 특보를 발령한다. 구체적인 기준은 각 주의 기상청 지부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대체로 체감온도가 -40℃(= -40℉, 아래 그래프 참조) 밑으로 내려가고 그런 일이 세 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된다.
미국 기상청이 발령하는 기상 특보에는 일반적으로 watch → advisory → warning의 세 단계가 있다. watch는 그런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며, 폭넓은 지역에 대해 내려진다. 가장 심각한 특보인 warning은 그런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아주 높거나 이미 벌어졌을 때 내려지며, 즉시 적절한 조처를 취하여야 한다. 구체적 위험 특보이므로 watch나 advisory보다 좁은 특정 지역에 대해 내려지며, 기간도 짧다. (advisory는 위험한 기상 상황의 중간 정도 특보로 쓰이기도 하고, 좀 덜 위험한 기상 현상에 대해 발효되는 특보로 쓰이기도 한다.)
한국은 주의보 → 경보의 두 단계다. 한국 기상청 규정에는 체감온도 특보는 없고, 온도만으로 결정되는 한파 특보가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체감온도 특보를 내리는 곳도 있는 것 같다. 예컨대 서울시는 체감온도 -25~-45도에서 '경고'를, 그보다 내려가면 '위험'을 발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내가 사는 곳에 내려진 경보를 서울시 기준으로 하면, 월요일 새벽은 '노출된 피부는 몇 분 내로 얼며 야외 환경은 생명에 매우 위험함'에 해당하는 '위험' 상황이다. 그래도 최저점에 떨어졌을 때 잠깐 나가서 체험해 봐야겠지.
아래는 섭씨와 화씨 온도를 상대적으로 표현하여 그린 그래프다. [기울기 > 1]인 F가 온도 변화에 더 민감하여 숫자 변동폭이 크다. F와 C는 영하 40도에서 서로 만난다.

극단적인 추위 상황에 있으면 생각이 잘 안 된다. 볼이 찢어지는 것 같은 상황에서 걸어본 적이 있는데, 내가 어디를 가고 있는지 잘 생각이 나지 않아 덜컥 두려운 느낌이 들었다. 더 위에 계신 분들한테는 엄살 같이 보이겠지만. 생명이 위험할 정도로 추우면 가장 염려되는 사람은 밖에서 자는 노숙자들이다. 시에서 임시 대책을 세웠겠지만, 아무 일 없이 잘들 버텨내었으면 좋겠다. 제가 사는 도시와 인근 도시, 주에 계신 분들도 모두 안전하고 따뜻하게 한파를 지나시기를 바랍니다.
※ 기온 예보 그래프: intellicast.com
[덧붙임] (1월7일 오전 1:15)
월요일 아침. 이곳은 초중고등학교가 개학하는 날인데, 너무 추워서 모두 문을 닫고 휴교했다.

햇빛은 밝았지만 강한 바람이 그 약간의 따뜻한 기운마저 모두 휩쓸어가 버리는 것 같았다. 중무장하고 호숫가를 30분 정도 걸어봤는데, 눈물 콧물이 쏟아지는데다 볼의 감각이 없어지고, 안경 위로 입김이 얼어붙어서 앞이 보이지 않았다. 온도는 -26℃, 바람은 시속 35km, 체감온도는 -41℃였다. 호수 위로 나가보고 싶었지만 상태가 심각해질 것 같아서 그만뒀다. 호기심은 고양이를 꽁꽁 얼려버릴 수도 있으니까.


전국기상청이 내린 경보는 이렇게 말한다.
체감온도 경보는 매우 차가운 공기와 강한 바람이 만나 체감 온도를 위험한 수준까지 떨어뜨릴 때 발령됩니다. 이 정도의 체감온도에서는 피부가 아주 짧은 시간 외부에 노출되어도 동상을 입게 되며,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저체온증에 걸리거나 동사할 수 있습니다.
체감온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기온과 바람(풍속), 지표면에 쬐는 일사량이다. 미국 기상청은 저온과 강풍 등으로 체감온도가 떨어져서 위험한 수준이 되면 특보를 발령한다. 구체적인 기준은 각 주의 기상청 지부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대체로 체감온도가 -40℃(= -40℉, 아래 그래프 참조) 밑으로 내려가고 그런 일이 세 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된다.
미국 기상청이 발령하는 기상 특보에는 일반적으로 watch → advisory → warning의 세 단계가 있다. watch는 그런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며, 폭넓은 지역에 대해 내려진다. 가장 심각한 특보인 warning은 그런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아주 높거나 이미 벌어졌을 때 내려지며, 즉시 적절한 조처를 취하여야 한다. 구체적 위험 특보이므로 watch나 advisory보다 좁은 특정 지역에 대해 내려지며, 기간도 짧다. (advisory는 위험한 기상 상황의 중간 정도 특보로 쓰이기도 하고, 좀 덜 위험한 기상 현상에 대해 발효되는 특보로 쓰이기도 한다.)
한국은 주의보 → 경보의 두 단계다. 한국 기상청 규정에는 체감온도 특보는 없고, 온도만으로 결정되는 한파 특보가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체감온도 특보를 내리는 곳도 있는 것 같다. 예컨대 서울시는 체감온도 -25~-45도에서 '경고'를, 그보다 내려가면 '위험'을 발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내가 사는 곳에 내려진 경보를 서울시 기준으로 하면, 월요일 새벽은 '노출된 피부는 몇 분 내로 얼며 야외 환경은 생명에 매우 위험함'에 해당하는 '위험' 상황이다. 그래도 최저점에 떨어졌을 때 잠깐 나가서 체험해 봐야겠지.
아래는 섭씨와 화씨 온도를 상대적으로 표현하여 그린 그래프다. [기울기 > 1]인 F가 온도 변화에 더 민감하여 숫자 변동폭이 크다. F와 C는 영하 40도에서 서로 만난다.

극단적인 추위 상황에 있으면 생각이 잘 안 된다. 볼이 찢어지는 것 같은 상황에서 걸어본 적이 있는데, 내가 어디를 가고 있는지 잘 생각이 나지 않아 덜컥 두려운 느낌이 들었다. 더 위에 계신 분들한테는 엄살 같이 보이겠지만. 생명이 위험할 정도로 추우면 가장 염려되는 사람은 밖에서 자는 노숙자들이다. 시에서 임시 대책을 세웠겠지만, 아무 일 없이 잘들 버텨내었으면 좋겠다. 제가 사는 도시와 인근 도시, 주에 계신 분들도 모두 안전하고 따뜻하게 한파를 지나시기를 바랍니다.
※ 기온 예보 그래프: intellicast.com
[덧붙임] (1월7일 오전 1:15)
월요일 아침. 이곳은 초중고등학교가 개학하는 날인데, 너무 추워서 모두 문을 닫고 휴교했다.

햇빛은 밝았지만 강한 바람이 그 약간의 따뜻한 기운마저 모두 휩쓸어가 버리는 것 같았다. 중무장하고 호숫가를 30분 정도 걸어봤는데, 눈물 콧물이 쏟아지는데다 볼의 감각이 없어지고, 안경 위로 입김이 얼어붙어서 앞이 보이지 않았다. 온도는 -26℃, 바람은 시속 35km, 체감온도는 -41℃였다. 호수 위로 나가보고 싶었지만 상태가 심각해질 것 같아서 그만뒀다. 호기심은 고양이를 꽁꽁 얼려버릴 수도 있으니까.
덧글
자그니 2014/01/06 22:09 # 답글
deulpul 2014/01/07 09:26 #
우유차 2014/01/07 23:48 # 답글
외출하셨다는 것 만으로도 강심장이십니다! +_+
deulpul 2014/01/08 09:41 #
미스티 2014/01/08 06:25 # 삭제 답글
deulpul 2014/01/08 09:45 #
겨울소녀 2014/01/08 23:43 # 답글
deulpul 2014/01/09 06:50 #
타츠야 2014/01/09 14:43 # 삭제 답글
건강하시고 좋은 글들 앞으로도 부탁 드립니다. 언젠가 뵐날이 오기를 바라며...
deulpul 2014/01/10 01:43 #
North Shor 2014/01/10 06:36 # 삭제 답글
deulpul 2014/01/10 15: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