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붙임] (2016년 6월1일 09:20)
해외에서 접속 때 한국 웹사이트 연결이 안 되는 상황에서 크롬 브라우저의 VPN 플러그인인 올라(hola)를 사용하면 잘 접속이 된다는 제보가 있었습니다. hola 설치 후 접속 국가 설정을 한국으로 하는 방식입니다. 어려움을 겪는 해외 독자들께서는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해외에서 한국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국민들이 겪는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 예전에 쓴 관련글 '아이핀 발급 분투기'에 지금도 계속 붙고 있는 댓글을 보면 그 양상을 잘 알 수 있다.
글을 쓴 지 2년 이상 지났으니, 그 사이 뭔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여전히 계속되는 불편 호소를 보면 그런 가능성은 별로 없는 듯하지만, 여하튼 시간이 꽤 지났으니 다시 점검을 해 봐야 할 일이다.
지난 4월 말, <서울신문> 기자이기도 한 자작나무님이 이와 관련한 기사를 준비하신다는 소식을 주셨다. 말씀을 나누는 과정에서, 지금의 접속 환경은 어떤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볼 필요가 생겼다.
다음은 그 결과다.
<서울신문>의 기사는 5월11일자에 "공공 아이핀 해외선 ‘산 넘어 산’… 재외국민엔 머나먼 IT 강국"이라는 제목으로 나왔다. 기사는 아이핀 사용에 불편을 겪는 해외 이용자들의 사정을 살펴보고, 위 '분투기' 포스팅에 달린 불편 호소 댓글들을 '의미 연결망 분석'으로 들여다보았다. 의미 연결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고 한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상콤하다' '편리하다' '신뢰감' 같이 긍정적인 체험을 드러내는 단어는 하나도 없다.
<서울신문> 기사가 나가고 난 뒤 행정자치부는 '설명자료'를 냈다. 설명은 다음 넉 줄(원문 기준)이 전부다:
이 부분에 대해 나는 자작나무님께 이런 말씀을 드렸다:
책상에 앉아서 '이러면 돼, 저러면 돼' 하는 사람들이 현장에서 벌어지는 불편과 고통을 알 리가 없다. 예컨대 '대리인 신청으로 공공아이핀 발급 가능' 같은 말을 하는 사람들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실제로 그런 일을 수행하는 게 얼마나 힘들고 성가신지 잘 모르거나 신경쓰지 않는다.
해외 독자들께는 미안한 말이지만, 불행히도 상황이 나아질 가능성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정책이든 제도든 의지가 있어야 세상이 바뀌고 편해지는데, 그게 빠져있다.
해외에서 접속 때 한국 웹사이트 연결이 안 되는 상황에서 크롬 브라우저의 VPN 플러그인인 올라(hola)를 사용하면 잘 접속이 된다는 제보가 있었습니다. hola 설치 후 접속 국가 설정을 한국으로 하는 방식입니다. 어려움을 겪는 해외 독자들께서는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해외에서 한국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국민들이 겪는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 예전에 쓴 관련글 '아이핀 발급 분투기'에 지금도 계속 붙고 있는 댓글을 보면 그 양상을 잘 알 수 있다.
글을 쓴 지 2년 이상 지났으니, 그 사이 뭔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여전히 계속되는 불편 호소를 보면 그런 가능성은 별로 없는 듯하지만, 여하튼 시간이 꽤 지났으니 다시 점검을 해 봐야 할 일이다.
지난 4월 말, <서울신문> 기자이기도 한 자작나무님이 이와 관련한 기사를 준비하신다는 소식을 주셨다. 말씀을 나누는 과정에서, 지금의 접속 환경은 어떤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볼 필요가 생겼다.
다음은 그 결과다.
■ 해외에서 아이핀을 발급할 때 겪는 현상 중, 글을 쓴 2년 전(2013년 5월)과 비교해 같은 것과 달라진 것(2015년 4월 말 확인 내용):
1. 일반 아이핀
- 본인 확인 방법으로 1) 한국 휴대폰, 2) 공인인증서, 3) 직접 방문 방법을 사용하도록 규정한 것은 마찬가지. 과거에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인증 방식이 있었으나 없어짐.
- 따라서 외국 거주자의 경우 2) 공인인증서가 없는 한 일반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없음은 여전함.
2. 공공 아이핀
2-1. 브라우저 별 사이트 접속
- 공공 아이핀 사이트(http://www.g-pin.go.kr/center/main/index.gpin)는 제대로 열림. 과거에는 아예 열리지 않았고, 이 점에서부터 근본적인 불만이 많았는데 접속 환경은(접속 환경만?) 좋아진 듯.
- Firefox에서 사이트 열릴 때 키 입력 보안 exe를 깔라는 팝업이 계속 뜸.
- 발급 절차를 진행하면 Firefox에서는 보안 위험 사이트로 분류되어 접속이 되지 않음.
- 크롬에서 사이트 접속하면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강제로 깔림.
- IE로 접속하면 팝업은 뜨지 않고 대신 사이트 로딩이 지연되는 것으로 보아 크롬처럼 강제 설치하는 듯. 나중에 구동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확인하면 'TouchEn Key'라는 프로그램이 은밀히 설치되어 구동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2-2. 실제 발급 절차 관련
- 공공 아이핀 사이트에 아이핀 발급 절차를 자세히 설명해 둔 메뉴('온라인 발급 안내')가 있음.
- 본인 인증 방법으로 1) 공인인증서 이용 2) 주민등록증 확인 3) 방문 신청 등을 규정한 것은 동일.
- 4) '재외 국민'을 선택하여 여권 정보로 가입할 수 있으나, 유학생, 주재원, 방문자 등이 소지한 PM 여권은 안 되고 영주권자 등에게 발급되는 PR 여권만 가능한 것은 과거와 동일.
- 결국 외국 임시 거주자의 경우 3), 4)는 해당 안 되고, 만일 1) 공인인증서가 없고 2) 주민증을 휴대하고 있지 않거나 있더라도 단독 세대원인 경우 공공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없음.
- ㄱ. 유학생, 주재원 등 외국 임시 거주자로서 ㄴ. 주민증을 소지하지 않거나 단독 세대원인 사람이 아이핀을 받아 국내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① 한국에 가서 관공서에 직접 출두하여 공공 아이핀을 신청하거나 ② 공인인증서 뿐. 그런데 공인인증서 역시 한국에서 공인인증기관이나 등록대행기관(RA, 금융기관 등)에 신분증을 갖고 직접 가야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마찬가지.
- 따라서 ㄱ, ㄴ의 상황인 사람은 한국에 가서 공인인증서를 발급받기 전에는 국내 사이트를 사용할 수 없음.
※ 휴대폰 인증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음.
※ 댓글들을 보면 공인인증서나 아이핀 등 인증 수단이 있는 경우에도 해외에서 웹 사이트 가입을 할 때 오류가 나서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아주 흔한 듯. 이것은 이러한 인증 수단을 거치는 과정이 웹 표준을 준수하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한국형 웹 인프라를 덕지덕지 갖추지 않은 해외 인터넷 사용 환경에서 인증 과정을 밟으려 하면 오류가 나기 때문인 듯.
1. 일반 아이핀
- 본인 확인 방법으로 1) 한국 휴대폰, 2) 공인인증서, 3) 직접 방문 방법을 사용하도록 규정한 것은 마찬가지. 과거에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인증 방식이 있었으나 없어짐.
- 따라서 외국 거주자의 경우 2) 공인인증서가 없는 한 일반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없음은 여전함.
2. 공공 아이핀
2-1. 브라우저 별 사이트 접속
- 공공 아이핀 사이트(http://www.g-pin.go.kr/center/main/index.gpin)는 제대로 열림. 과거에는 아예 열리지 않았고, 이 점에서부터 근본적인 불만이 많았는데 접속 환경은(접속 환경만?) 좋아진 듯.
- Firefox에서 사이트 열릴 때 키 입력 보안 exe를 깔라는 팝업이 계속 뜸.
- 발급 절차를 진행하면 Firefox에서는 보안 위험 사이트로 분류되어 접속이 되지 않음.
- 크롬에서 사이트 접속하면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강제로 깔림.
- IE로 접속하면 팝업은 뜨지 않고 대신 사이트 로딩이 지연되는 것으로 보아 크롬처럼 강제 설치하는 듯. 나중에 구동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확인하면 'TouchEn Key'라는 프로그램이 은밀히 설치되어 구동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2-2. 실제 발급 절차 관련
- 공공 아이핀 사이트에 아이핀 발급 절차를 자세히 설명해 둔 메뉴('온라인 발급 안내')가 있음.
- 본인 인증 방법으로 1) 공인인증서 이용 2) 주민등록증 확인 3) 방문 신청 등을 규정한 것은 동일.
- 4) '재외 국민'을 선택하여 여권 정보로 가입할 수 있으나, 유학생, 주재원, 방문자 등이 소지한 PM 여권은 안 되고 영주권자 등에게 발급되는 PR 여권만 가능한 것은 과거와 동일.
- 결국 외국 임시 거주자의 경우 3), 4)는 해당 안 되고, 만일 1) 공인인증서가 없고 2) 주민증을 휴대하고 있지 않거나 있더라도 단독 세대원인 경우 공공 아이핀을 발급받을 수 없음.
- ㄱ. 유학생, 주재원 등 외국 임시 거주자로서 ㄴ. 주민증을 소지하지 않거나 단독 세대원인 사람이 아이핀을 받아 국내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① 한국에 가서 관공서에 직접 출두하여 공공 아이핀을 신청하거나 ② 공인인증서 뿐. 그런데 공인인증서 역시 한국에서 공인인증기관이나 등록대행기관(RA, 금융기관 등)에 신분증을 갖고 직접 가야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마찬가지.
- 따라서 ㄱ, ㄴ의 상황인 사람은 한국에 가서 공인인증서를 발급받기 전에는 국내 사이트를 사용할 수 없음.
※ 휴대폰 인증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음.
※ 댓글들을 보면 공인인증서나 아이핀 등 인증 수단이 있는 경우에도 해외에서 웹 사이트 가입을 할 때 오류가 나서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아주 흔한 듯. 이것은 이러한 인증 수단을 거치는 과정이 웹 표준을 준수하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한국형 웹 인프라를 덕지덕지 갖추지 않은 해외 인터넷 사용 환경에서 인증 과정을 밟으려 하면 오류가 나기 때문인 듯.
--- ** --- ** ---
<서울신문>의 기사는 5월11일자에 "공공 아이핀 해외선 ‘산 넘어 산’… 재외국민엔 머나먼 IT 강국"이라는 제목으로 나왔다. 기사는 아이핀 사용에 불편을 겪는 해외 이용자들의 사정을 살펴보고, 위 '분투기' 포스팅에 달린 불편 호소 댓글들을 '의미 연결망 분석'으로 들여다보았다. 의미 연결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고 한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상콤하다' '편리하다' '신뢰감' 같이 긍정적인 체험을 드러내는 단어는 하나도 없다.
--- ** --- ** ---
<서울신문> 기사가 나가고 난 뒤 행정자치부는 '설명자료'를 냈다. 설명은 다음 넉 줄(원문 기준)이 전부다:
유학생, 주재원 등 방문여권 소지자는 본인과 국내에 거주하는 세대원의 주민등록증 발급일자나 대리인(가족관계) 신청으로 공공아이핀 발급이 가능하므로 공공아이핀은 해외에서도 이용이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 유학생, 주재원 등은 통상 해외이주시 본인의 주민등록을 부모나 친인척 주소지로 이전하기 때문에 국내 주소지가 단독세대원인 경우는 거의 없음
※ 유학생, 주재원 등은 통상 해외이주시 본인의 주민등록을 부모나 친인척 주소지로 이전하기 때문에 국내 주소지가 단독세대원인 경우는 거의 없음
이 부분에 대해 나는 자작나무님께 이런 말씀을 드렸다:
- 기사가 'A라는 일을 하려면 B나 C라는 일을 해야 하는데 이것이 매우 불편하다'라는 것인데, 이에 대해 '설명 자료'는 'A를 하려는 분은 B나 C라는 방식으로 하실 수 있습니다'라고 쓰고 있는 꼴.
- 마지막 단독세대원인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은 사실과 다름. 한국에서 단독 세대주였던 사람(성인)이 주소를 친인척 집으로 옮기기 위해 전입 신고를 하는 경우, 세대주를 포기하고 친인척 세대주에 합치는 '세대 합가'나 '세대 편입'도 있지만 독자적 세대를 그대로 유지하며 전입하는 '세대 구성'도 흔히 있음.
- 그 이전에, 이런 방식으로 하려면 주민증을 손에 들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부터 불편하며, 게다가 주민증이 발급되지 않은 미성년 해외 거주자는 이 방법도 불가능.
- 마지막 단독세대원인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은 사실과 다름. 한국에서 단독 세대주였던 사람(성인)이 주소를 친인척 집으로 옮기기 위해 전입 신고를 하는 경우, 세대주를 포기하고 친인척 세대주에 합치는 '세대 합가'나 '세대 편입'도 있지만 독자적 세대를 그대로 유지하며 전입하는 '세대 구성'도 흔히 있음.
- 그 이전에, 이런 방식으로 하려면 주민증을 손에 들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부터 불편하며, 게다가 주민증이 발급되지 않은 미성년 해외 거주자는 이 방법도 불가능.
책상에 앉아서 '이러면 돼, 저러면 돼' 하는 사람들이 현장에서 벌어지는 불편과 고통을 알 리가 없다. 예컨대 '대리인 신청으로 공공아이핀 발급 가능' 같은 말을 하는 사람들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실제로 그런 일을 수행하는 게 얼마나 힘들고 성가신지 잘 모르거나 신경쓰지 않는다.
해외 독자들께는 미안한 말이지만, 불행히도 상황이 나아질 가능성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정책이든 제도든 의지가 있어야 세상이 바뀌고 편해지는데, 그게 빠져있다.
Advertisement
덧글
아인베르츠 2015/07/22 17:40 # 답글
서류 하나 결제할때마다 컴퓨터 껐다 켜게 만들어야지!
deulpul 2015/07/24 09:36 #
뿡뿡이 2015/08/27 05:22 # 삭제
겪어봐야 얼마나 열받고 미치고 펄쩍 뛸지 알텐데.
긁적 2015/07/22 18:24 # 답글
세금을 내는 이유는 그 세금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라는 건데 그걸 제공하지 않으면 도둑이죠 뭐.
deulpul 2015/07/24 10:01 #
끔찍 2015/08/09 22:24 # 삭제 답글
deulpul 2015/08/28 23:43 #
하아... 2015/08/30 09:35 # 삭제 답글
deulpul 2015/09/06 19:06 #
from Tokyo 2015/09/29 12:33 # 삭제 답글
해외배송 된다는 한국 쇼핑몰에서 옷을 부모님 카드결제로
해외배송을 주문했는데 ... 주문할때 아이핀도 핸드폰도 없어서 회원가입이 안되서
그냥 비회원으로 주문했더니~~ 제가 옷 색깔을 잘못 주문해서 정정해달라고
하고픈데 뭐 이건 회원가입도 안되서 게시판에 글도 못쓰고 ㅋㅋㅋ 뭐 워찌해야하나요ㅋㅋㅋㅋ
일본은 뭔가 인터넷상 결제에 보안 규제 그런게 없어서 너무 허술하다 싶은데 또 우리나라도 이것저것 제한 걸어나서 참 답답해요 ㅋㅋㅋㅋ 아 열받아서 그냥 댓글 남겨요!! 짜증나!! 내일 쇼핑몰 영업 시작하면 국제전화로 걸어서 문의해야겠어요 ㅎ ㅎㅎㅎㅎ 에라이!! 재외국민은 국민도 아니냐 ㅎㅎ
deulpul 2015/09/30 23:08 #
ㄴㄴㄴ 2015/09/30 08:16 # 삭제 답글
은행용공인인증서 있으면, 해외에서 www.g-pin.go.kr 가서 만들수 있고
근데 만들었더니, 로그인이 계속 에러나고 안됩니다. 찾아보니 이유는 해외 아이피라서 안됨.
그래서 IE 의 프락시 세팅을 한국의 프락시 http://www.freeproxylists.net 를 찾아서 설정하니, 로그인 되었음. 로그인 하면 개인정보 메뉴에 해외에서 접속 차단 --> 이걸 허용으로 바꾸니
이제는 프락시 없이도 해외에서도 로그인 됩니다.
deulpul 2015/09/30 23:10 #
공무원들 싫다 2015/10/23 07:55 # 삭제
며칠동안 스트레스 때문에 미칠 것 같았는데 나만 이런게 아니라는 생각에 잠시 위로가 생기네요.
정말 며칠동안 머리싸매고 고민한 끝에 아이핀 만들었는데, 로그인이 안되는 어이없는 일이 생겼는데, 이제는 해외 아이피라서 안된다니. 국내 아이피로 전환해서 다시 접속차단을 허용으로 바꾸어야 하는군요.
공무원들 정말 무슨 생각을 하고 사는지 모르겠네요.
공무원들 싫다 2015/10/23 07:58 # 삭제
컴퓨터에는 문외한이라 프락시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저와 같이 어려움 겪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버림받은해외거주자 2015/10/21 22:28 # 삭제 답글
투표권잇는 국민도 버리는데
해외 투표도 제대로 되지않는
해외거주자를 신경이나 써줍니까
헐 한심합니다 헬조선
ㄹㄴㅁㄻㄴㄹㅇ 2015/11/06 01:46 # 삭제 답글
이라니 2015/11/08 17:55 # 삭제 답글
아이핀 발급 받으려 5일째 시도 중인데 가능하긴 한건지 모르겠네요.
deulpul 2015/11/19 20:17 # 답글
ㅇㅇ 2015/11/26 16:52 # 삭제 답글
홍콩 일본 독일 영국 등등 웬만한 나라에서 다 온라인으로 오더해봤는데 한국은 무슨 인증이 그렇게 많고 또 해외크레딧카드는 받지도 않고 이쁜 애기옷 한벌 살려다가 그냥 포기 포기 ㅎㅎ
창조경제 외치면서 외국인들 온라인구매도 못하게 하는데 있는 시장이라도 제대로 운영하는게
좋을듯 하네요
deulpul 2015/11/27 00:29 #
교강용 2015/11/29 21:04 # 삭제
교강용 2015/11/29 21:01 # 삭제 답글
교강용 2015/11/29 21:09 # 삭제
언젠가 한국 다시 들어가게 되면 십원짜리 한장까지 싸그리 탈탈 털어서 다 정리하고 나와야 되겠습니다. 딱히 거기 놔둬야 할 필요가 있는 것도 아니고 하니. 창조경제 돋네요.
deulpul 2015/11/30 22:52 #
이시우 2015/12/07 20:06 # 삭제 답글
미치겠네요... ㅠㅠ
deulpul 2015/12/08 10:58 #
아휴 2015/12/12 06:34 # 삭제 답글
deulpul 2015/12/14 20:04 #
동감 2016/01/14 15:58 # 삭제 답글
이유도 모른체, 이것 저것 다 해보며 시간 낭비하기를 몇 시간...해외 아이피라서 그랬던 거군요! 여기에서 알게 되었습니다. 대단합니다. 정확히 에러 이유도 가르쳐 주지 않고, 국민들 시간 낭비 시키는 배짱. 재외국민 뿐 아니라 한국에 있는 사람들도 아이핀 오류 때문에 시간 낭비할 때 꽤 있다던데...이런 문제많은 시스템을 왜 고집하는지...정말 가끔은, 한국이라는 나라가 경멸스럽네요..
deulpul 2016/01/17 16:18 #
브랜 2016/01/30 17:14 # 삭제 답글
서류를 보내고 뭐하고 그러라는데 미국만해도 LA/샌프란 안살면 한국동포 아닙니까? ㅋ 차라리 한국처럼 서울서 부산 거리정도라면 후딱 댕겨오죠.. ㅋ 전화번호는요? 왠걸 016 018 쓰다가 미국와서 간만에 친구한테 전화했더니 없는 번호랍니다. 010으로 다 넘아갔다구요.. 그래서 간만에 편지 보내려 했더니 주소 싹 다 바꿨습니다. 쇼핑은요? 한국발급 카드 아니라고 굵직한 사이트들이 안된다고 하네요.
돈 벌게 해준다고 해도 싫다네요.. 그러면서 한류때문에 인터넷 주문이 잘될꺼라구요? ㅋㅋ
예전에 한 뉴스 보니까 지마켓 중국동포들이 쓰려고 하니까 안된다는.. ㅋ
해외 배송도 없고..
보면
해외 동포는 스티븐유 취급을 하는군요.. ㅡㅡ;; 해외에서 사는 동포들이 한국 알리느라 얼마나 고생이 많은데.. 보상은 못할 망정..
유학생 여러분들 한국에 돌아가면 여서 살던 힘들게 했던 제도들 좀 고쳐주세요
동포들은 전부 스티븐 유가 아니구 미군 술집 살던 천한 사람들이 아니라는걸..
(그 천한 사람이라도) 누구보다 한국 그리워하고 연락하고 싶다는걸..
제발 외면하지 말라라구요..
deulpul 2016/02/04 15:25 #
ㅇㅇ 2016/02/07 10:50 # 삭제 답글
한국영화를 왜 홍콩 사이트에서 사야하는건지 ㅎㅎ
2000년대초에 만들었던 다음 네이트 아이디 본인인증 안되서 결국 유령아이디로 잠기고
10년전만해도 해외 크레딧카드 받던 한국 온라인 게임 사이트들. 이젠 휴대전화 아이핀 없으면 사이트 인증도 못하고 결제도 못해서 오래동안 해오던 게임들도 안녕을 고했습니다
문상을 사서 결제를 해라. 아이디 인증은 친지들 휴대전화로 해라. 말이쉽지.. 그냥 안하는게 편한거죠
무슨 한류다 세계적은 문화 컨텐츠를 만들겠다면서 외국인들은 결제도 못하도 같이 어울리지도 못하고 그냥 말로만 글로벌 글로벌.
10년전보다 더욱더 쇄국정책으로 돌아가버린 한국 사이트들이 아쉽고 또 원망스럽네요.
한국 휴대전화 없어서 아이핀없어서 오랫동안 사용하던 아이디들 휴면계정 유령회원 되버리니
허탈합니다.
참 온라인으로 세계가 하나 된다더니. 입국심사보다 더 힘든게 한국 사이트 가입하는거 같습니다.
그냥 딴나라들같이 메일 인증이나하고. 페이팔로 결제하고. 민감한 정보들 요구안하는게 더 좋을거 같은데 어차피 털릴거. 어쩌겠습니까. 이젠 한국인도 아니고. 그냥 한국말 하는 외국인으로 그나마 온라인에서라도 어울리고 싶지만 그것마저 허락이 안되는군요. 그래도 언젠가는 인터넷
속도만 빠른게 아니라 진정한 IT 강국으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deulpul 2016/02/10 16:55 #
po97055 2016/03/03 23:52 # 삭제 답글
deulpul 2016/03/15 11:40 #
아오 진짜 2016/04/21 22:29 # 삭제 답글
현재 해외임 공공아이핀 재인증하라고 메일이 날라와서 행자부 공공아이핀시이트 접속 시도하는데
일단 접속은 됨.
그런데 TouchEnKey_Installer 이 플그램 30여회 다운로드됨.
이것 다운로드 되는것 말고는 되는게 없음.
익스로 바궈서 접속하니 이젠 엑티브엑스를 설치하라나 뭐라나(아직도 이것 안없어졌나?)
계속 뺑뺑이돌며 재인증이 안되어서 구글 검색 했더닌 해외에선 안된답니다.
이런...
deulpul 2016/04/22 15:32 #
제 경우는 크롬에서는 해결이 됐습니다. 키보드 보안 익스텐션을 강제 설치시키긴 했는데, 그 뒤로 접속이 되었습니다(한국내 환경임). 물론 그 뒤에 원하시는 작업을 완료하실 수 있다고 보장하지는 못합니다. 더구나 해외 환경에서는요...
으아아악 2016/05/04 02:35 # 삭제 답글
3시간 거리 영사관을 두 번가서 공인인증서를 마침내 받아서(처음 발급 받은 공인인증서는 주민번호불일치가 떠서 쓸모없게 되어 신규재발급) 공공아이핀 본인인증했는데, 며칠 뒤 아이핀 쓰려니까 그런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다네요. ㅠㅠ, 그래서 다시 재발급을 받으면서 아이디 중복확인하니 정말 그런 아이디가 없는겁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ㅜㅜ 다시 같은 아이디로 본인인증 거치고 받았습니다. 그리고 로그인하려니까 그런 아이디 또 존재하지 않는다네요. 또 다시 재가입하려니 이젠 그 아이디가 존재해서 가입할 수 없다네요... 미추어버리겠습니다. 이게 도대체 무슨 짓인지......
해외에서 로그인 2016/05/24 18:45 # 삭제 답글
저도 한국 출장갔다가 어렵사리 아이핀을 발급은 받았는데, 어제 오늘 하루종일 미국에서 접속하는데 로그인이 안되서 explorer, chrome을 왔다갔다 하며 별짓 다하다 chrome에서 hola 써서 접속하니 드디어 로그인이 되는군요.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deulpul 2016/06/01 09:23 #
우리나라 답 읎다 2016/05/27 14:47 # 삭제 답글
진짜... 답이 없다.
이거 만든 인간 자기 집 비밀 번호가 이 지랄 났으면 좋겠다
deulpul 2016/08/15 00:06 #
아이핀 발급 2016/08/11 16:57 # 삭제 답글
오늘 다시 필요해서 아인핀 발급 받을려니까 공인인증서로 된다함. 이름이랑 주민번호넣고 뺑뺑이 여러번 돌다
마지막에 한국전화번호 넣으라함.
이런 제길. 한국전화없어서 아이핀 만들려는건데 ...
아오 진짜 한국 공무원들 대책이 없다...
deulpul 2016/08/15 00:07 #
미친한국정부 2016/08/26 05:54 # 삭제 답글
3년째 아이핀 2016/12/17 13:04 # 삭제 답글
해외에서 무얼좀 할려하면 그놈의 아이핀 이 있어야 한단다. 그래서 올해에는 어럽게 진짜 어렵게 드디어 공공 아이핀을 발급 받는데 성공했다.
그런데 공공아이핀은 아이핀이 아니었다.
그래서 다시 아이핀 발급받기 시도를 벌써 며칠째 ...
hola, vpn , PC의 시간설정을 한국과 현 거주하는곳 의 시간대로 조정, 재조정 해가면서...
본인인증은 공인인증서로 하면 된단다.
위의 여러가지를 해결하고 나서 드디어 아이핀 발급받기 시도...
...내려받고 설치하는것 모두하고나서.. 공인인증서로 인증하면 된다.
아 아 그런데 또 막혔다. 공인인증서는 공인인증서가 아니었다.
은행거래하는 공인인증서는 사용중인것이 있는데 그것은 안됀다는것.
그럼 공인인증서는? [범용공인인증서] 가 필요 하다고 한다.
그럼 발급 받으면되지...
허허허 발급받을려면 신청서를 작성해서 가지고 직접 방문하란다...
참 나...
배틀넷접속 2017/01/03 01:10 # 삭제 답글
구리파리 2017/01/07 08:19 # 삭제 답글
실명제 자체의 문제 2017/04/24 16:08 # 삭제 답글
deulpul 2017/04/27 09:51 #
2년뒤 2017/05/02 00:30 # 삭제 답글
학생 기간이 길어 영주권 못 받고, 일본 영주권법이 바뀌네 마네 했다가 지금 법안은 어디로 갔는지 개정은 지지부진하고...
안 그래도 영주권 없어 서러운데 영주권 없다고 재외국민 차별합니까.
여기서 10년 넘게 살았습니다. 그 중에 10년간을 학생 비자로 살았지만 지금 저 여기서 일하고 있구요,
영주권 준비하고 있네요.
이 정도면 이민자라고 봐도 되지 않습니까 진짜.
아오 울화통 터지네요.
2년뒤 2017/05/02 00:37 # 삭제 답글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했었는지 윗글이 삭제가 안 됩니다.
그런데 아이핀 발급받으려면 내년 6월쯤까지 기다려야 하는군요..ㅠ
내년 2월이나 되어야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고, 보통 영주권 허가가 나기까진 4개월 정도가 소요된다고 하니...
허허 참 그래도 1년 기다려야 되는군요 크하하하핳
아이핀도전기 2017/07/23 15:10 # 삭제 답글
1. 공인인증서로 시도하는 경우, 현재 은행에서 발급해주는 공인인증서로 2차 인증이 가능합니다.
2. 2차 인증 시 새로운 보안프로그램을 깔아야 하는 것은 여전히 불만입니다.공인인증서 2차
인증의 경우
설치 후 안될 시 : 컴퓨터 재시작 ->"2차인증 변경" 클릭 -> 공인인증서인증 하시면 됩니다.
3. 2차 인증 후 발급 완료 전에 해외 ip 접속 여부가 접속 불가로 되어 있는데 접속 가능으로 체크
해 주시면 됩니다.
4. 공인 인증서가 없다면, No DAB
살인충동 2018/03/01 13:40 # 삭제 답글
PR 2018/09/29 16:45 # 삭제 답글
아니 이게 무슨.... 핸드폰 인증때부터 정말 미칠것같은데, 아니 한국에 핸드폰 없으면 어떻게 인증하라고 이러는건지.. 아주 상콤하게 약올려주네요. 저거 만든 사람들 작업 다 끝내서 저장 누르기 전에 컴퓨터를 탁 꺼줘야하는데;
4082 2020/06/05 10:25 # 삭제 답글
오랜만에 인터넷으로 은행 두세군데 뱅킹을 하려면 한시간 이상 걸립니다.
이것저것 깔라고 하고
몇년전 이야기 입니다만 공공아이핀은 옛날에 진짜 어렵게 어렵게 만들어놨는데
갱신을 하려니 로그인이 안됩니다.
몇번이나 담당자한테 국제전화도 걸어보고, 검색도 해보고 온갖 방법을 써도 로그인이 안됩니다
직원 조차도 그렇게 해서 안되면 도와드릴 방법이 없다고 ...
민간 아이핀으로 바뀌어서 신청을 했습니다. 그것도 어렵게 어렵게 몇시간을 고생해서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가끔 비번이 틀리다고 합니다. 분명히 맞게 입력을 했는데.. 잊고 있다가
다시 해보니 또 인증이 성공 합니다. 며칠전에는 안되던 것이.
국토교통부에 문의할 일이 있어서 본인 인증을 하려니 아이핀을 넣으랍니다
넣었더니 해당 지역은 안되니까 전화해서 문의하랍니다.
국민신문고에 글을 올렸더니 그때마다 전화를 하랍니다.
국회에서 법을 만드는거라 자기들도 어쩔수 없답니다.
그래서 얼마전 한국에 갔을 때, 오로지 인증용으로 한국 번호가 있는 유심을 구매했습니다
한달에 3천원씩 비용이 듭니다. 오로지 인증을 위해서만 있는 번호입니다.
해외 거주자의 한국 쇼핑몰 이용에 대해서는
지마켓에서는 일부 품목이 해외 신용 카드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해외 카드로 명절에 부모님 선물이라도 보내드리려 하니까 해외 카드를 사용하면
오로지 해외로만 배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인터넷으로 사기치려고 하는 세계의 모든 해커들은 대한민국만 타겟으로 삼고 있나요?
왜 우리만 이래야 하는지
마츠 2020/11/07 10:47 # 삭제 답글
매번 한국싸이트에서 무언가를 해야할때 화가 치밀어오릅니다.
나이드신 어머님이 인터넷으로 할수있는것이 한정되어있고 머하나 사서 직으로 보내드리려면 항상 걸림돌이되는데요. 당췌 왜 이런 휴대폰 인증을 해야하는것인지....
해외휴대폰도 인증번호가 날라오게 해주면 좋을텐데요.
오늘도 켈레비젼이 고장났다는 어머니 대신 구입하려다가 물어보고 싶은게 있는데 게시판에 글쓰기 상담원 챗팅 등등 다 로그인하라고 되어있더라고요
그러던중 이메일 인증 가입이 있길래 이메일 인증으로 들어가서 해결하려 했더니 결국 마지막에는 또 휴대폰 번호가 없어서 가입을 안해준답니다. 그럴거면 이메일 인증이라고 왜 써놓는걸까요????
이건 누구를 위한 시스템인가요? 답답해서 주절주절 써봤습니다.